이런 내용 배울 수 있어요.

    1. Fascial Integration 1
    롤핑을 기반으로 한 Myofascial Release(근막이완요법)

    Fascial Integration 1 롤핑을 기반으로 한 Myofascial Release(근막이완요법) 세미나는
    Myofascia와 Biomechanics(생체역학)를 연계한 강의로 환자의 자세 회복이나 통증 감소에 더욱 효과적이고 쉽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롤핑의 창시자인 Dr. Ida P Rolf 근막(fascia)을 우리 몸의 중심이고, 움직임의 중심이며, 건강의 중심이라고 말했습니다. 근막의 긴장도와 그 길이는 신체 건강에 대한 절대적인 기여 요소임이 틀림이 없습니다.

    8주간(72시간)에 걸쳐 근막의 이해와 더불어 근막이 신체 구조에 미치는 영향, 자세와의 관계 및 근막과 각 관절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공부 합니다. 특히 자세와 통증에 있어서는 지금 세계적으로 조명 받고 있는 근막을 제외 하고는 치료적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그 동안 치료적 한계를 느껴 보신 선생님들이 계시다면 이번 세미나가 또 다른 치료 방향을 제시 해주리라 믿습니다. 

    근막은 또 다른 세계입니다.

      2. Fascial Integration 2
      신경가동술과 신경혈관이완요법 (Neural Mobilization & NeuroVascular Release)


      우리의 몸이 건강하기위해서는 관절(joint mobility),연부조직(soft tissue mobility 근육근막을 포함하는 결합조직)과 신경(neural mobility)이 모두 좋아야 합니다.
      이 세 개의 요소는 한쪽으로의 치우침도 없이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동안 도수치료는 관절과 연부조직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 부분의 치료방법도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발전되어왔지만, 신경조직과 혈관에 대한 치료는 여러 가지 이유로 그 치료가 등한시 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우리 몸은 관절과 연부조직에만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신경은 신경자체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또는 다른 구조물에 의해 눌려 장애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근육근막통증은 허혈성 통증(ischemic pain)이라고 많은 학자들은 말합니다. 혈관의 문제도 신경근육골격계통 통증의 하나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근육 부피의 대략 절반정도는 근막으로 이루어져 있고, 근육은 그 근막의 연결에 따라 항상 역학적인 힘을 받듯, 신경도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이 신경근막(Neurofascia)으로 이루어져 역학적인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신경근막 이완요법(Neurofascial Release)과 신경가동술(Neural Mobilization)은 말초신경에 생긴 역학적 문제를 직접, 간접적인 방법으로 치료해서 신경의 전달을 원활히 하게 만들어 통증 제거 및 신체 기능을 올바르게 만들어 주는 방법입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말초신경계를 위주로 그 구조와 경로 및 가장문제가 많이 생기는 부위와 그 치료방법에 대해 공부합니다. 

      또한 특히 3주차에 신경과 관계 있는 혈관에 대한 치료도 포함 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신경은 동맥을 동반해 주행합니다. 신경의 문제나 환자의 통증은 동맥의 허혈로 인한 경우도 생각 보다 많이 있습니다. Dejung이란 학자는 “myofascial pain(근막통증)은 허혈성 통증” 이다 라고 했습니다. 부분적 허혈 상태는 nociceptive stimuli를 증가시키고 myofascia의 통증과 stiffness를 증가 시킵니다. 따라서 동맥에 대한 흐름은 치료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3. Fascial Integration 3
        Fascial Distortion Model (FDM)

        – FASCIAL PAIN AND BODY LANGUAGE – 

        근막 문제의 새로운 진단과 치료

        미국의 Osteopathy인 Steven Typaldos는 뛰어난 안목으로 FDM을 창시 했습니다. 그는 오랫동안 응급실과 자신의 병원에 근무하면서 근막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특정한 Body Language를 통해 그들의 문제를 표현하는 것을 보고 근막 문제의 새로운 진단과 치료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그는 근막의 문제를 6개의 카테고리로 구분했습니다.

        근막에 생기는 여러 문제들은 그 증상을 재현 시키기가 어려워 때로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History를 기반으로 환자가 표현하는 Body Language를 잘 살펴 본다면 우리는 어렵지 않게 환자의 증상이 근막의 어떤 문제인지 판단 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History와 그들의 표현만큼 정확한 진단은 없기 때문이죠. 환자들은 항상 자신의 문제를 우리에게 말이나 졔스춰를 통해 표현하고 그 문제의 여러 원인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는 Body Language를 잘 읽을 수 있다면 근막에 어떤 형태의 문제가 있는지 아주 쉽게 유추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자가 표현하는 근막 문제의 Body Language는 정말 특이하게 상태에 따라(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같은 형태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여섯 개의 모델 중 Trigger Band라는 모델은 근막이 하나의 선상으로 Linear하게 꼬여 긴장되는 문제입니다. 이런 경우 환자는 보통 타는 통증이나 당기는 통증(Burning, Pulling Pain)을 느끼며 모두 공통적으로 병변 부위를 손가락 끝으로 선상으로 Linear하게 쓰는 동작(Sweeping Motion)으로 표현합니다. 

        우리는 환자들이 타는 통증이나 당기는 통증이 있고 이런 병변 부위를 쓰는 동작으로 그들의 문제를 표현 한다면 간단히 Trigger Band라고 진단 내리고 그에 맞는 치료를 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Spinal Series
          목, 허리 디스크의 진단과 치료

          요즘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사용 급증으로 많은 사람들이 목과 허리 디스크에 노출되어 있고 실제로 디스크는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목, 허리 디스크의 진단과 치료 세미나는 목과 허리 디스크의 종류와 그에 따른 증상 및 manual therapy를 주제로 진행합니다. 어떤 경우에 우리가 manual therapy를 할 수 있고, 하면 안 되는지 또한,디스크와 퇴행성 관절염, 척추후관절 증후군(facet syndrome)과의 증상 차이 등을 공부합니다. 

          목을 포함한 우리 몸의 구조는 관절의 가동성(Joint Mobility), 신경의 가동성(Neural Mobility), 연부조직 특히 근육근막의 가동성(MyoFascial Mobility)이 정상적으로 작용해야 기능 이상 상태와 질환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기능 이상 (Dysfunction)과 특히 역학적인 질환(Mechanical Disorder)들의 접근은 관절, 신경, 근육근막의 가동성을 되살려 구조적으로 올바르게 되돌려 줘야 해결 됩니다.

          목과 허리 디스크와 기능 이상도 이와 같은 Concept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디스크의 임상양상은 신경 근 골격계의 바이블인 Cyriax 정형의학적 방법과 근막이완요법(MyoFascial Release), 신경가동술 및 신경근막 이완요법(Neural Mobilization and NeuroFascial Release), 피부신경조절, 교정(Manipulation) 등을 공부합니다.

            5. Pain Series Workshop
            통증 시리즈

            롤핑자세연구소 통증 시리즈 Workshop
            통증의 원인이 되는 근막, 관절, 신경 치료를 한번에 배울 수 있는 기회

            모든 신경근육골격 계통의 환자는 모두 통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수치료가 통증만 치료하는 것은 절대로 아니지만, 환자에게는 통증 컨트롤이 그 무엇 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초보자도 누구나 잘 따라 할 수 있게 기초 부터, 정말 효과 좋은 테크닉 만을 엄선하여, 이론은 줄이고 실습위주로 바로 사용 할 수 있게 강의 합니다.

            상지, 하지, 척추 코스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6. Mulligan Joint Mobilization
            관절 가동술

            멀리건 컨셉의 관절가동술은 뉴질랜드 물리치료사인 브라이언 멀리건에 의해 고안된 방법으로 다른 관절가동술과는 다르게 관절움직임과 능동적인 움직임을 결합한 독특한 형태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몸은 항상 움직임이 동반되기 때문에 움직임을 배제한 치료는 통증이 발생하는 동작을 다시 수행할 때 또 다시 통증을 초래할 수 있게 만들게 됩니다.

            예를 들어 누운 자세에서 정적인 치료를 진행한 후 관절의 움직임은 제한이나 통증이 없을 수 있지만 치료가 끝난 후 걸어가면서 다시 같은 증상이 유발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멀리건 컨셉의 관절 움직임 회복 기법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은 회의를 느껴왔고 그것을 보완한 방법을 멀리건 컨셉의 관절 움직임 회복 기법이라는 이름으로 창안 하였습니다.

            아직 치료법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정확히 모두 설명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멀리건 컨셉의 관절 움직임 회복 기법의 즉각적인 효과만으로도 의미가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그 효과를 인정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7. Advanced Integration for the Fascia and Posture

              인체를 겉으로 보면 대칭을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체 안으로 들어가 보면 인체 내부는 대칭이 아닙니다. 기능적으로 좌뇌와 우뇌의 기능이 다르고, 해부학적으로 내부장기의 모양이나 위치도 다릅니다. 특히 호흡에 작용하는 횡격막은 왼쪽과 오른쪽의 크기나 모양, 부착부 등이 다릅니다. 이러한 여러 비대칭적 요소 때문에 인체는 자세가 비대칭이 되기 쉽습니다. 이 AI 세미나에서는 인체에 가장 흔한 비대칭적 자세에 대해 공부합니다. 이런 비대칭적 자세와 이에 따른 근막의 비대칭은 결국 자세 불량을 넘어 질환의 상태를 만듭니다. 이런 비대칭적 자세를 객관적 테스트를 통해 평가하고, 신경학적 개념으로 근막을 이완하며, 비대칭운동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8. Cranial Integration
                두개골 요법

                두개골에 대한 치료는 Manual therapy의 꽃입니다. 

                하지만 두개 관절을 이루고 있는 두개골 suture는 다른 관절들처럼 치료하기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두개골 관절 사이에도 mobility가 있습니다. 두개골 관절 사이의 mobility 저하는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몸의 여러 곳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신경학적 변화를 가져와 우리 몸의 여러가지 증상을 만들기도 합니다. 한가지 예로 occiput의 위치 변화는 뇌간(brain stem)의 기능에 문제를 일으켜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여러 증상들과 함께 결국 muscle과 fascia tone의 불균형을 통해 자세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cranial Integration 코스는 초보자를 위한 두개골의 해부학과 두개 관절에 대한 치료적 접근(특히 두개 관절의 mobility의 회복) 및 cranial bone에서 중심 역할을 하는 접형골과 후두골 접합부(Sphenobasilar junction)의 10개의 움직임과patterns, 두개골 관절인 suture release에 대해 공부합니다.

                참고: 본 강의는 CST 강의가 아닙니다.